Creating Observables - create, just, defer, fromCallable
RxJava2의 Observble 생성을 위한 Operator 중 create, defer, fromCallable에 대해 알아보자.
다른 포스팅 글에서 RxJava란 무엇인지, 기본 연산자는 무엇인지에 대해 공부해봤었는데요.
RxJava의 연산자는 Creating, Transforming, Filtering, Combining, Observable Utility Operators 등 여러 종류의 연산자가 있습니다.
오늘은 Creating Operator 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보면 좋은 글
Creating
RxJava에서는 옵저버블을 생성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존 함수의 결과 값을 옵저버블로 발행하거나 리스트의 값을 하나씩 발행할 수도 있으며 옵저버블 생성을 구독이 발생할 때로 지연시킬 수도 있습니다.
심지어는 아무것도 발행하지 않고 종료하거나 에러를 발행하는 옵저버블을 생성할 수도 있습니다.
Observable.create()
create()
함수는 옵저버블 생성 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함수 중 하나입니다. 이 함수는 OnSubscribe
객체를 파라미터로 가지고 있어 구독이 발생하면 이 객체의 call()
함수가 실행되게 됩니다.
create()
함수는 onNext
, onComplete
, onError
같은 이벤트를 적절한 상황에 직접 호출해주어야 합니다.
주의해야 할 점은 onComplete()
나 onError()
함수가 호출된 이후에는 옵저버의 어떠한 함수도 호출하지 않아야 합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fun getBoardList(): Observable<QuerySnapshot> {
return Observable.create { emitter ->
firestoreDb.collection(DataConst.BOARDS)
.orderBy(DataConst.TIMESTAMP, Query.Direction.DESCENDING)
.addSnapshotListener{ querySnapshot, e ->
if (e != null) {
Log.w(TAG, "getBoardList() | occur error", e)
emitter.onError(e)
return@addSnapshotListener
}
querySnapshot?.let {
emitter.onNext(it)
return@addSnapshotListener
}
}
}
Observable.just()
just()
함수는 인자로 넣은 데이터를 바로 방출할 때 사용되는 함수입니다.
내부적으로 ScalarDisposable을 사용하고있어 onNext()
를 통해 데이터를 방출하고 onComplete()
까지 호출하게 됩니다.
just()
는 간단한 함수이지만 주의 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구독자가 구독할 때 옵저버블의 just가 호출이 끝난 시점까지 현재 쓰레드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고 펜딩된다는 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just()
호출 시에 무거운 로직을 넣게 되면 성능상 굉장히 좋지 않은 영향을 끼치게 될 수 있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 just 호출 시 오래 걸리는 로직을 넣은 케이스(1000ms)
fun justTemp() {
Log.d(TAG, "justTemp() | start | ${System.currentTimeMillis()}")
Observable.just(getDataWithSleep())
.subscribeOn(Schedulers.io())
.observeOn(AndroidSchedulers.mainThread())
.subscribeWith(object: DisposableObserver<String>() {
override fun onComplete() {
Log.d(TAG, "justTemp | onComplete() called.")
}
override fun onNext(t: String) {
Log.d(TAG, "justTemp | onNext() | $t")
}
override fun onError(e: Throwable) {
Log.w(TAG, "justTemp | onError: $e", e)
}
})
Log.d(TAG, "justTemp() | end | ${System.currentTimeMillis()}")
}
fun getDataWithSleep(): String {
try {
Thread.sleep(1000)
} catch (e: InterruptedException) {
e.printStackTrace()
}
return "Data With Sleep"
}
// 결과
2020-08-06 18:15:41.512 .../...: justTemp() | start | 1596705341512
2020-08-06 18:15:42.515 .../...: justTemp() | end | 1596705342515
2020-08-06 18:15:42.532 .../...: justTemp | onNext() | Data With Sleep
2020-08-06 18:15:42.532 .../...: justTemp | onComplete() called.
결과에서와 같이 end까지 1초가 걸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just()
연산자에서 방출하는 데이터는 getDataWithSleep()
메소드를 통해 전달받은 결과값입니다.
해당 메소드에서는 약 1초간 딜레이를 주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업스트림이 io scheduler 임에도 불구하고 구독자가 구독 후에 다음 메소드를 진행하는데 딜레이가 됨을 알 수 있습니다.
RxJava를 주로 쓰는 이유 중 하나가 비동기 처리를 위함인데 위와 같은 코드는 전혀 비동기적이지 못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추가로, getDataWithSleep()
메소드 내에 스레드를 로깅해보면
1
2020-08-06 18:22:39.642 .../...: getDataWithSleep() | Thread[main,5,main]
Main Thread 에서 돌고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just를 사용한 옵저버 생성 시에는 유의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Observable.defer()
defer()
함수는 지연 초기화를 제공하는 함수입니다. 즉, 구독이 발생할 때 비로소 옵저버블을 생성하게 하는 함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른 연산자들은 연산자를 선언하는 순간 메모리에 할당되지만 defer()
는 subscribe가 호출될 때 할당되게 되며 각각의 옵저버에게 매번 새로운 옵저버블을 생성시키게 됩니다.
이로 인하여 just()
와는 다르게 스트림 생성을 지연하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드린 just의 예제를 defer 를 적용하여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 봐보도록 하겠습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fun deferTemp() {
Log.d(TAG, "deferTemp() | start | ${System.currentTimeMillis()}")
Observable.defer { Observable.just(getDataWithSleep()) }
.subscribeOn(Schedulers.io())
.observeOn(AndroidSchedulers.mainThread())
.subscribeWith(object: DisposableObserver<String>() {
override fun onComplete() {
Log.d(TAG, "deferTemp | onComplete() called.")
}
override fun onNext(t: String) {
Log.d(TAG, "deferTemp | onNext() | $t")
}
override fun onError(e: Throwable) {
Log.w(TAG, "deferTemp | onError: $e", e)
}
})
Log.d(TAG, "deferTemp() | end | ${System.currentTimeMillis()}")
}
fun getDataWithSleep(): String {
try {
Thread.sleep(1000)
} catch (e: InterruptedException) {
e.printStackTrace()
}
return "Data With Sleep"
}
// 결과
2020-08-06 18:28:52.983 .../...: deferTemp() | start | 1596706132983
2020-08-06 18:28:52.984 .../...: deferTemp() | end | 1596706132984
2020-08-06 18:28:53.985 .../...: deferTemp | onNext() | Data With Sleep
2020-08-06 18:28:53.985 .../...: deferTemp | onComplete() called.
결과에서 start에서 end까지 큰 차이 없이 종료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보시는 것 처럼 1초간 딜레이를 주는 getDataWithSleep()
메소드를 호출했음에도 불구하고 stream 생성의 지연 효과로 인해 비동기 작업을 하는데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getDataWithSleep()
메소드 내에 스레드를 로깅해보면
1
2020-08-06 18:28:53.985 .../...: getDataWithSleep() | Thread[RxCachedThreadScheduler-1,5,main]
해당 메소드가 io scheduler 에서 돌고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Observable을 위한 Observable을 생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Observable.fromCallable
fromCallable()
은 defer()
와 마찬가지로 스트림 생성을 지연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의 차이점이 존재하는데 이는 옵저버블에서 데이터를 방출(emit) 할 때 추가로 Observable을 생성하지 않고 바로 데이터를 스트림으로 전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defer()
의 단점을 보완하여 defer()
의 효과를 그대로 가져갈 수 있는 operator 입니다.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fun fromCallableTemp() {
Log.d(TAG, "fromCallableTemp() | start | ${System.currentTimeMillis()}")
Observable.fromCallable { getDataWithSleep() }
.subscribeOn(Schedulers.io())
.observeOn(AndroidSchedulers.mainThread())
.subscribeWith(object: DisposableObserver<String>() {
override fun onComplete() {
Log.d(TAG, "fromCallableTemp | onComplete() called.")
}
override fun onNext(t: String) {
Log.d(TAG, "fromCallableTemp | onNext() | $t")
}
override fun onError(e: Throwable) {
Log.w(TAG, "fromCallableTemp | onError: $e", e)
}
})
Log.d(TAG, "fromCallableTemp() | end | ${System.currentTimeMillis()}")
}
fun getDataWithSleep(): String {
try {
Thread.sleep(1000)
} catch (e: InterruptedException) {
e.printStackTrace()
}
Log.d(TAG, "getDataWithSleep() | ${Thread.currentThread().name} ")
return "Data With Sleep"
}
// 결과
2020-08-06 18:47:11.743 .../...: fromCallableTemp() | start | 1596707231742
2020-08-06 18:47:11.744 .../...: fromCallableTemp() | end | 1596707231744
2020-08-06 18:47:12.746 .../...: fromCallableTemp | onNext() | Data With Sleep
2020-08-06 18:47:12.746 .../...: fromCallableTemp | onComplete() called.
start와 end 사이에 시간 차이가 거의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Observable.fromCallable 호출부를 보면 defer()
와 다르게 Observable.just()
호출을 통한 스트림 생성 로직이 없음에도 Observable 생성 시간이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추가로, getDataWithSleep()
에 스레드를 로깅해보면
1
2020-08-06 18:47:12.745 .../...: getDataWithSleep() | Thread[RxCachedThreadScheduler-1,5,main]
해당 메소드가 io scheduler 에서 돌고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